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주촌동


위치

법정동인 주촌동은 동쪽에서 동남으로 충북 보은군과 시계를 이루며 서쪽에서 서남쪽으로는 대청호, 내탑동과 접해 있다. 그리고 북쪽에서 북서쪽으로는 충북 보은군과 오동에 접해 있다.

유래

이 마을의 지형이 풍수설에 배터라고 한데서 배말이라는 마을이름이 유래되었다는데 현재 대청댐의 완공으로 수몰된 지역이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 조선시대 말기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주안면의 지역으로서 배말, 주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적욱역폐합에 따라오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주촌동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대청동이고 주촌동의 동쪽과 서쪽이 대청호와 금강에 수몰되었다.


지명

가는골[골] 괴티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감나무골[마을] 주촌동 마을 앞을 지나는 큰 길 위쪽의마을이다.
강변뜸[마을] 배말과 우두먹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개낭개[골] 우두먹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는 대청댐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개티재[고개] 충북 보은군 회인 사람들이 내탑으로 오던고개이다.
경주김씨생원공묘소[묘] 토방터 마을에서 서쪽대청댐 호숫가에 있으며 약 5천여평의 경주이씨 종산으로 묘가 100기 이상 모여 있어 마치공원묘지 같은 느낌이 든다. 마을에서 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경주이씨천’이란비석이 있다.
공기돌바위[바위] 이성골 강변에 있던 바위돌이며, 전하는말에 의하면 옛날 이곳에 힘센 장수가 한 사람 살고 있었다고 한다. 하루는 심심해하던 때에 이성골 강변에서 다섯 개의 바윗돌을 보았다고 한다. 그는장난삼아 손으로 주워서 던진 것이 하나는 삽재고개 위에 떨어지고, 두개는 장고개 천장골에 떨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두 개는 그 자리에서깨쳐버렸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성골 강변에는 공기돌 바위가 없어졌다고하는데 깨진 바위는 대청댐이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기 전까지 이성골강변에 있었다고 한다.
괴티[고개] 토방터마을 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금바위[바위] 배말 사골 앞에 있는 바위로 포광에 금붕어와금잉어가 있다하여 붙여진 바위 이름이다.
기바날[마루] 옛날 배말 뒤에 있는 산의 능선으로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꽃봉(화봉)[산] 주촌동의 앞산끝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명고의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이 매우 아름답고 꽃이 아주 많이 피어 있는 봉우리라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265미터이며 산이 매우 수려하다.
늘미모퉁이 배말에서 내탑으로 가는 모퉁이이다.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대정령골[골] 주촌동의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는 대청댐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독골[골] 배말 동쪽 너머에 있던 골짜기로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독적골[마을] 돌이 많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동그래말림[산] 토방마을 오동쪽에 있는 동그란 산이다.
마당바위[바위] 바위가 하도 커서 마당같다고 하여 붙여진이름이며 배말에 있던 아주 넓은 바위로 장정 50여명이 그 위에서 밥을먹을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머고개(원티)[마을] 원래부터 있던 고개의 아랫마을이란 의미에서붙여진 이름으로 꽃재의 일부분이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머기고개[고개] 머고개 마을 뒤에 위치한다.
모종계[골] 옛날 배말 동쪽 옆 산 골짜기로 기바나아래에 있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바깥도장골[골] 독골 밖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는 대청댐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방아골[골] 옛날 독골과 안도장골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방태거리[거리] 배말 앞에 있으며 세 아름드리 느티나무 20여 그루가 있어서 오뉴월에는 이 동네 사람들이 밥을 먹고 쉬는 곳이었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배말[마을] 주촌 1동에 있으며 대정댐을 완공한 뒤일부 마을이 수몰되고 주촌 1동에 이전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배말나루터[나루] 배말 북쪽에 있는 사골 모퉁이 나루터이다.
부엉데미[들] 대정열골의 서북쪽에 위치한 들의 이름이다.
비석날[마루] 주촌동 마을 앞 큰 길 바로 위편이며장군석이라고도 부르는 곳으고 연대미상의 조선시대 장군이었던 고성 이씨의 묘비가있다.
사골(사곡)[골] 주촌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산제당터[제당] 우두목 동쪽에 위치하며 산제를 지내던곳이다.
산제정[산] 새절고개 옆에 있는 산을 말한다.
삽골[골] 우두먹 동쪽 골짜기로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인하여 수몰되었다.
삽재[고개] 오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상여집[고택] 배말 뒤에 있으며 귀신 우는 소리가 자주들렸다고 한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새절고개[고개] 대청호 쪽을 항하여 왼편에 위치한 고개이다.
세바탕[평전] 할미골 안에 있는 평지로 배말에서 소를끌고 이 곳에 와서 풀을 먹이고 풀을 메어 가려번 세 번을 쉬어야 하기 때문에붙은 이름이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수루나미골[골] 주촌과 내탑동에 걸쳐 있는 골짜기이다.
안도장골[골] 옛날 독골 옆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양달뜸[들] 천장골 북쪽에 있는 들이다.
양지독골[골] 원티의 동쪽에 인접해 있는 골짜기이다.
여수머니[산] 현재의 주촌 앞 큰 산이며 옛날 여우가많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동리[마을] 사골 동북족에 있는 마을이다.
왜정골고개[고개] 주촌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자 옥천군 군북면와정리로 가는 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을 왜정골이라 부른다.
왜정골모래막이 주촌동의 우측에 있으며 근처의 산에 모래가많아서 비만 조금 많이 오면 이 모래가 마을로 흘러들어와 이를 막기 위해쌓아 놓은 둑의 이름이다.
우괴티[고개] 괴티 위에 있는 장고로 가던 고개이다.
우대[마을] 주촌마을에서 배말로 들어오는 곳에 위치해있다.
우두목(우두먹이) 주촌동의 서쪽 장고개 아래자락에 있으며땅의 모양이 마치 소의 머리 같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음달뜸[들] 천장골 남쪽에 있는 들이다.
음지독골[골] 양지뜸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성골[골] 배말 앞 금강가에 있던 강변이다.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장고개[고개] 배말에서 내탑리 탑산장으로 넘어가던 고개로마을 사람들이 장을 보러 가기 위해 넘어 가던 고개이름으로 옛날에성격이 포악하고권세를 부리던 사람이 이 마을에 살았는데 그는 자기집앞을 지나가는 사람을 마구 잡아서 자신의 집일을 강제로 시키곤하였다 한다. 그는 그의 말을 듣지 않은 사람들을 관가로 보내어혼이나게 하였다 한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을 위혐을 무릅쓰고 온갖짐승들이 우글거리는 험한 고개를 넘어 장을 보러 갔다고 한다. 바로이 고개를 장을 보러 가는 고개하 해서 장고개라 부른다고 한다.
쟁기날[산] 장고개의 날등이다. 산 능선이 쟁기날처럼생겼다고 해서 부르는 말이다.
적산[산] 주촌동 마을 앞 오른편에 위치하고 있는산이름이다.
절재[고개] 동리 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정골고개[고개] 주촌동 1반에서 마을 정명에 위치한 고개이다.
조팟골[골] 주촌동의 서쪽, 장고개 밑부분에 있는 골짜기로조밭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
족족골[골] 올개논골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족초골[들] 우두목 남쪽 음지뜸에 있는 들판이다.
증골[마을] 배말에서 머고개 가는 길목에 서 있던 마을이다.
증상골[골] 머고개 앞에 있던 강물 줄기가센 골짜기이다. 물살이 너무 세어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잃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질마바위[바위] 증골의 강가에 있던 바위로 마치 소의 질마처럼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장마가 지면 질마바위가 물속에 들어갔다가물이 빠지면 꼬 질마처럼 보였다고 한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수몰되었다.
천장골[골] 우두먹 뒤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토방대(토방터) 현재 주촌 2동 지역의 옛 이름으로 주촌동을옛날에는 토방터라 하였다 한다.
한국골[골] 국사봉 밑에 있는 골짜기이다.
한국골샘[샘] 한국골에 있는 샘으로 아무리 가뭄이 들어도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행보루모퉁이 배말에서 오동으로 오는 모투이로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행적골[골] 괴티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황구골[마을] 주촌동 마을 앞을 지나는 큰길 위쪽 왼편에위치한 마을이다.
황복골[골] 시목골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