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척동
위치
장척동은 동쪽에 삼괴동, 서쪽에는 중구 산성동과 접해 있고, 남으로는 산소동, 북으로는 소호동과 경계를 이룬다.
유래
이 지역의 산세가 가늘고 길게 뻗쳐 있어 마치도 긴 자처럼 생겼다 하고 하여 이름 붙여 졌다고 전하는데 또한 이곳을 따로 새재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구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9년(1018년) 이후에는 고을부에 속해였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 이지역은 본래 공주군 산내면의 지경으로서, 고종32년(1895년)지방 관제개정에 의해 회덕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의하여 소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척리라 하여 대전(대덕)군 산내면에 편입되엇다. 그러나 1935년 11월 1일 대전부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그 후 1989년 1월 1일 대전깃할시 승격에 따라 대전직할시에 속하게 되엇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장척동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산내동이다.
지명
각골[골] | 방척골 동북쪽에 있다. |
---|---|
구라날망[마루] | 장척리 북쪽에 있는 산 날망이다. |
구라날망골[골] | 구라날망 아래 있는 골짜기이다. |
그머기[마을] | 장척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마을로써 동구산내동에서 중구 금동으로 이어지는 가장 지대가 높은 산 위의 길가에자리하고 있는 마을로 깊은 숲속에 잇는 마을이라 항상 어둠침침한음달로 있어서 그머기라 부른다. 또는 옛부터 이 근처에는 금광과탄광 등이 있어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금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금이나오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그머기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
금동고개[고개] | 도래말에서 금동리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
금옥골[골] | 알미 아래쪽(동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금이기골[골] | 각골 동쪽에 있다. |
다름비앞[산] | 장척동 남쪽에 있는 산으로 다람쥐가 많아서붙여진 이름이다. |
대끝양지[골] | 은골 동쪽에 있는 햇볕이 잘드는 곳이다. |
도람말[마을] | 아래말 아래 10개구가 살고 있는 마을이다 |
도래말 (두레말, 회촌) | 새재에서 모퉁이를 돌아가야 하는 마을로새재의 서쪽에 있고 모퉁이를 돌아가는 것이 마치 두레하는 새끼처럼 꼬여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두루봉[산] | 절골위에 있는 봉우리이다 |
매봉날[산] | 안산 북쪽에 있는 산으로 매사냥꾼이 매를날리던 곳이다. |
방죽터[못] | 도래말에 잇는 사라진 물웅덩이이다. |
방척골[못] | 장작골 동쪽에 있다. |
보호수[나무] | 장척동에서 금동으로 가는 고개에 있고 5그루소나무로 수령이 200년, 높이가 15미터로 1990년 8월 보호수로지정되었다. (고유번호 6-1-24) |
산제당골[골] | 장척동 동쪽에 있는 산제를 지네는 골짜기이다. |
새재(장척리, 장척동)[마을] | 새재의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
성재[고개] | 안산날망에 있는 석성으로 그 흔적만 남아잇다. |
성툭[고개] | 장척동에서 금동으로 가는 고개 이다. |
소룡골고개 | 그머기에서 소룡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
아래말[마을] | 윗말아래에 있는 마을로 25가구 정도가산다. |
안말(내촌)[마을] | 새재의 안쪽에 있고, 새재의 안쪽 깊숙한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안산[산] | 장척리 앞에 있는 산이다. |
알뫼[마을] | 금옥골의 윗쪽, 장척동의 가장 동쪽에 있다. |
어둠골[골] | 절골 왼쪽에 있고, 별이 들지 않아 어두워서 붙여진 골짜기이다. |
얼거리골[골] | 두리봉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
열거리골1[골] | 금이기골 동남쪽에 위치한다. |
열거리골2[골] | 작은 세골 남쪽의 골짜기이다. |
우골[골] | 장척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웃골[골] | 웃말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위말[마을] | 우골쪽에 있는 5가구 정도의 마을이다. |
윗골[골] | 장척동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은골[골] | 얼거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이다. |
은진송씨재실 | 장척동과 금동 사이에 있다. |
응골[골] | 어둠골 왼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작은골[골] | 큰골 옆에 있는 작은 골짜기이다. |
작은세골[골] | 삼괴동 마분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작은웃골[골] | 열거리골 남쪽, 큰웃골의 왼쪽(서쪽)에있는 골짜기이다. |
장자골[골] | 장척리 동북편이 있는 곳으로 부자가 살았다는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이름. |
장작골[골] | 안말 서쪽에 있다. |
장척골[골] | 장척동 북쪽 골짜기이다. |
장척리정자 | 도람말과 아랫말 사이에 있는 정자나무로매년 정월 보름에 제를 올린다고 한다. |
재동골[골] | 아랫말 동쪽에 있다 |
재롱골[골] | 장척 동남쪽에 있다. |
절골1[골] | 우골과 증골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절이 있었다. |
절골2[골] | 장척동 동쪽에 있던 절이 있던 골짜기이다. |
정자나무거리 | 장척동 시내버스 종점의 서쪽에 있는 거리로느티나무 둘레가 14미터 정도의 큰 고목이 있는데 40여년전에 나무가쓰러져서 다시 심었다고 한다. |
증골[골] | 장척동 북서쪽 골짜기이다. |
찬물샘골[샘] | 장척리 세거리에 있고 물이 차갑고 옻이오른 사람들이 목욕을 하면 낳았다고 한다. |
큰골[골] | 장척동 윗골아래 큰 골짜기이다. |
큰골고개[고개] | 장척리에서 큰골로 가는 고개이다. |
큰웃골[골] | 작은웃골의 오른쪽(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포강저수지[못] | 장척리 동나무 앞에 있는 물을 가두워 놓는곳이다. |
푯대날망[마루] | 뒷골 북쪽에 있는 깃대가 있던 날망이다. |
행상집밭[들] | 장척리마을 동쪽에 있는 상여집 앞에 있는밭 이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