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인동


위치

원동과 효동 사이에 있다. 인동의 동쪽으로는 대동?신흥동, 서쪽으로는 중구 은행동?대흥동, 남쪽으로는 효동, 북쪽으로는 원동과 각각 연접해 있다. 열 십자형으로 인효로와 충무로가 동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으며, 인효로 동서에는 대전천과 경부선 철로가 남북으로 나 있다.


연혁

백제때는 우술군, 신라때는 비풍군,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때는 공주부에 속했다. 조선시대 초기 태종 13(1413)에 다시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때는 공주군 산내면의 지역에 속했다. 고종 32(1895)행정구역변경에 따라 회덕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회덕군 외남면 정포리 일부를 병합하여 본정이정목이라 하여 대전군 대전면에 편입되었다. 1946년 해방과 더불어 왜식 동명 변경에 따라 인동이라 하고 대전시 동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동구 인동이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인동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지명


새전거리 인동사거리 남쪽의 대전천변 부근, 지금의대전상가에서 충무로 건너편에 있었으며 부락 안쪽으로우시장이 섰으므로 쇠전거리라고 하였다. 닷새마다 대전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옥천, 금산, 동면)사람들까지소를 몰고와 팔거나 사는 상행위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그때마다 많은사람들이 모여들어 음식점이나 노점이 크게 번창했던 곳이다. 한편 3?1운동때에는 이곳에서 수천명이 독립만세를 불렀던 곳이기도 하다.
인창교[다리] 인동사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다리로서, 한국기술연구원과중구 대흥동 대흥초등학교 사이의 대전천에 놓여 있다.
장터[시장] 인동사거리 서쪽, 지금의 인동상가지역(대전상가, 인흥상가, 동대전상가)부근에 있었고 조선시대 중기부터 이곳에는 장이섰으며, 1945년 5월 원동에 있던 장터가 도시 발전에 따라 이곳으로 옮겨와, 대전공설시장이란이름의 근대적인 면모를 갖춘 시장으로 개설하였다. 대전 인근지역인충북 옥천, 금산, 동면 사람들이 이곳 터가 시장을 이용하였으며, 대전공설시장의개설로 이곳을 새장터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m30-01.jpg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