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동
위치
이사동의 동쪽은 대별동이고 남쪽은 오도산의 사라니재를 넘어 소호동의 신완전 마을로 통하며 서쪽은 오도산과 장군봉 사이의 절고개를 넘어 구완전 으로 이어 진다. 북쪽은 자느리고개를 넘어 호동을 거쳐 시내로 통한다.
유래
이사동은 추로지향 즉 선비마을로 알려져 왓따. 그러기에 위사라니 수침골에 가면 소화동천 이라고 바위에 새겨져잇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향교골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는가 하면 오도산이란 산 이름도 있어 이것만 보아도 선비가 사는 고을임을 짐작케 한다. 지금으로 부터500년 전 송요년의 뵤가 잇는 것으로 보아 은진 송씨가 이때 이곳에 들어와 집송촌을 이루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 후손으로 동춘 송준길이 그 선고묘를 그 계하에 모셔 우락재에서 시묘살이 했다는 전설과 이 산이 사산으로 기록이 전하고 사산 아래 한천이 유명하며 뒷날 사한으로 불리워졋고 또 사산의 형국이 선동채란형이라 하여 한말의 학자 송병화는 그 호를 난곡 이라 하고 그 후 마을의 이름 사한리를 사란리 로도 부르게 한 사실을 들어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곳의 인물 송남수는 지금 아랫사한리 큰 소나무가 많이 있는 곳에 못을 파고 송담 이라 하고 이를 자신의 호로 삼았다는 전설도 전해 온다. 어쨌든 현 이사동은 윗하한과 아랫사한을 합하여 이사로 불러 온 것만은 틀림 없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햇으며, 신라시대에는 부풍군에 속하였다. 고려때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 초기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이 지역은 볼래 공주군 산내면 의 지역으로서, 고종 32년(1895)지방관제개정에 의해 회덕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페합에 의하여 상사한리, 하사한리를 병합하여 대덕군 산내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1989년 1월 1일 대전 직할시 승격에 따라 대전직할시에 속하게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이사동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산내동이다.
지명
고모재[고개] | 저수지(광영소류지)에서 새재로 가는 고개이름이다. |
---|---|
광영소류지[못] | 영귀대 남쪽 소호동 쪽으로 위치해 있는조그만 연못이다. |
노적봉[산] | 사라니 마을의 남쪽에 우뚝 솟은 봉우리이고 산의 모양이 마치 노적가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산의 모양이마치 노적가리처럼 생겼다 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달봉(월봉)[산] | 음지뜸 동쪽에 있는산으로마을에서 보면 달이 이 산위로 떠오르므로 생긴 이름. |
대추나무골 | 학고개 안에 있는 고을로 옛날에 이곳에커다란 대추나무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 |
돌고개[고개] | 이사동에서 구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으로고개에 돌이 많아서 부르던 이름. 이 고정상부분에 서낭당이있다 |
마당골[골] | 학교개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
무암골[골] | 이사동의 북쪽 끝, 중구 옥계동과 경계에있는 골짜기이다. |
무암천[내] | 이사동과 중구 옥계동으로 흐르는 개울이다. |
물방앗골[골] | 오두산의 동쪽, 웃사라니의 남쪽에 있고옛날에 이곳에 물방아가 있었던 곳이어서 부른 이름이다. 수침동이라고도 한다. |
바구니골[골] | 양지뜸 뒷산과 장군봉 사이 골짜기로 밭을일군 모양이 바구니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방아골[골] | 광영소류지 남쪽에 위치한 골짜기이다. |
방화산[산] | 오도산 옆에 있는 산의 이름이다. |
배고개[마을] | 물방아골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
부엉새골짝 | 윗사라니 물방아골짜기위에 있으며 부엉새가 살았고 밤마다 울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사구실[마을] | 물방아골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
사산봉[산] | 윗사라니 장군봉 아래에 있는 명당자리라하며 사라니의 이름도이 사산봉의 사 (沙)자를 취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이곳에는 은진 송씨의 조상묘가 많이 있다. |
사한골[골] | 지푸잿골 서쪽에 잇는 골짜기이다. |
사한교[다리] | 하사리에 잇는 다리 이름이다. |
산안(사라니, 산내, 사한리, 이사동)[마을] | 아래사라니의 위쪽에 있는 마을로 산의 안쪽에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신안, 산내라고 붙여진 이름이며 이사동은 하사한리와상사한리의 두 마을을 합한 뜻이라 한다. 여기서 사한리는 얫날 이곳의산이 모래로 되어 있었으며, 또한 그 모래속에서 샘이 나왓는데 그물이 하도 차서 사한리라 부른다. |
생적골(향교골) | 옛날에 이곳에 향교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이름으로 향교는 현마다 하나씩 설치 되었는데 이 곳 향교는 유성현 향교로 세워진듯 싶다. |
송씨고분군 | 이사동에 있는 은진 송씨 묘지이다. |
수영골[마을] | 몰방아골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
신완전이고개 | 수침골의 윗골짜기에 있는 고개로 옛날에이곳으로 대전을 왕래하던 산 이름 |
아래사라니 | 사라니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이사동의입구에 있으며 마을의 앞에는 왜정때 까지도 장승이 있었고 마을 건너 안산 밑에는 오도산문이라 새긴 바위가 있었다. |
양지들[들] | 윗사라니 양지쪽에 있는 들의 이름이다. |
양지뜸[마을] | 우락재와 은진송씨 재실이 위치해 있는마을이다. |
양화박골[골] | 학고개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
오대산(오도산) | 사라니의 남쪽에 위치하고 산 봉우리 모양이칼날처럼 뾰족하여 옆에서만 올라갈 수 있으며, 다른 쪽은 돌로 움집모양처럼 쌓아 놓았다 한다. 오도산에는 일정시대 이규홍이 일본군과싸운 전적지가 있다. |
오도산의싸움터 | 오대산에 있으며 1917년 11월17일의병장 이규홍이 왜병과 싸우던 곳이다. |
용바위[바위] | 양지뜸 재실 뒷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로바위 모양이 용처럼 생겨 붙은 이름이다. |
우더울[마을] | 물방아골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
웃사리니 | 사라니의 윗쪽편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 이곳의산에는 모래가 많고 깨끗하여 옛날에는 사산이라고도 불렀다. |
음지뜸[마을] | 양지뜸 남쪽 들 가운데 있는 마을로 사우당과사우당 종가가 있으며 김옥균 생가 유허가 있다. |
이사모팅이 | 아래사라니에서 윗대별동으로 가는 길로 산모퉁이라서붙여진 이름이다. |
인봉[산] | 사산봉 끝에 솟은 봉우리를 말한다 |
자느리고개 | 상사리에서 호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
자운평[들] | 주랭잇들 양지뜸과 자느리고개 사이에 잇는들이다. |
잠두봉[산] | 이사동의 남동쪽 편 즉 음지뜸 동쪽에 위치하고산의 모양이 마치 누에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장군봉[산] | 비파산 아래 봉우리를 말한다. |
절고개[고개] | 음지뜸 서쪽 절골에서 구완동으로 넘어가는고개로 옛날에 이곳에 절이 있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절앞들[들] | 윗사라니의 안쪽 들로 옛날에 절이 있었던곳의 앞쪽이란 뜻이라 한다. |
절터골[골] | 윗사라니의 안쪽에 위치해 있고 옛날 절터가있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포도밭으로 변해 있다. |
지청골[골] | 학고개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
직골[골] | 학고개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
찬샘골(참샘골) | 돌고개 산기슭에 위치해 있고 찬샘이 있어부르던 이름이다 |
큰골[골] | 물방아골 안에 있고 골자기가 크다 하여붙여진 이름이다. |
하고개[고개] | 아래사라니에서 볼 때 대전 쪽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는 고개로 옛날 묘를 파다가 학이 날아간 고개라 하여 붙여진이름이다. |
함박골[마을] | 물방아골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
혜림정사[사찰] | 하사리 서쪽의 절 이름이다. |
토속
아래사라니의 돌장승, 이사동의 하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