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신촌동


위치

법정동인 신촌동은 동쪽으로 충북 옥천군과 시계를 이루고 서에서 서북쪽으로 대청호에 접해 있으며 남으로는 신하동과 이웃해 있다. 그리고 북쪽으로는 사성동과 접해 있다.

유래

옛날에 환자쌀을 저장하는 사창이 있던 자리라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동음이의현상이 나타난 것이 이 지명의 특징이다.

연혁

본래 회덕군 주안면의 지역으로서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노적리, 토정리와 동면의 관종 일부를 병합하여 신촌리라 하여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가 신설됨에 따라 대덕군에 속하고 그후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신촌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대청동이고 신촌동의 서쪽은 대청호에 수몰되었다. 경주 김씨 5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었던 지역이고 회덕 황씨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지명


각씨골[골] 뒷골의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거북바위[바위] 신촌동에 있는 바위로 바위의 모양이 거북이를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고용재[고개] 신촌동 방축골에서 옥천군 군복면으로 넘어가는고개이다.
고용재골[골] 고용재에 있는 골짜기로 독골 동남쪽에 있다.
구렁골[골] 텃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구름다리 옛날에 구름다리가 있던 마을로 범바위가북쪽에 있는 마을로 운교라고도 불렀으며 대청댐의 담수로 수몰되었다.
구지나무골 옻샘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기도원계곡 황골재 골짜기에서부터 흘러 내리는 계곡이다.
기도원골짜기 다메섹기도원 뒤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깊다.
꾀꼬리봉 사성동과 접해 있어 봉우리의 보양이 꾀꼬리처럼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노적봉 사창 뒤에 있고 산의 형세가 노적가리처럼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멕섹가는길 신촌 큰 길에서 기도원까지의 길로 경치가아주 빼어나다. 도로 포장은 안되었다.
다멕섹기도원 장로교 기도원으로 큰 도로에서 독골 골짜기로 200m 들어가서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마멕섹교회, 기도원, 종탑, 저수지, 정원, 주차장 등이 있다.
다멕섹산[산] 다멕섹기도원이 있는 뒷산으로 산이 아주험준하며 등산로가 있다.
달개미[마을] 신촌동에 있는 마을로 신촌동 마을의 하나로 10여 가구가 살고 있었는데 수몰되었다.
달개미다리 청룡끝에서 달개미 마을로 건너가는 다리이다.
대실들[들] 밤실 북쪽에 있는 들 이름이다.
덕다리[다리] 방축골 서북쪽에 있어 옛날에 송장을 달아매고 최봉을 하던 곳이라고 한다. 현재는 대청댐의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덕다리골[골] 방축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덜미골[골] 독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덜시산[산] 신촌 뒷산에 있는 산으로 송림과 잡목이우거졌다.
독골(돌골)[골] 방축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자갈돌이아주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독골골짜기[골] 신촌에서 모래재 못 미쳐 있는 골짜기로돌이 많아서 돌골, 독골이라 불렀다고 하는데 이 골짜기로 충북 옥천을 오고갔다고한다. 특이사항으로는 골이 매우 깊다.
독골저수지[못] 다멕섹기도원 앞에 있는 저수지로 수량이많고 주위 경관이 좋다.
독새골[골] 독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뒷골[골] 대실들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땀봉[산] 방축골 앞에 있는 대청댐 호수 위에 솟아있는섬(산봉우리)을 말한다.
면산[산] 방축골 뒷산으로 옛날 면사무소가 관리하는산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모새날[산] 신촌 서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 모래날에서유래했다 한다.
밤실[골] 모새날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밤실[마을] 채봉골 오른쪽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방축골[마을] 사창마을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고 마을에방죽이 있어서 방축골이라 부른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방축골[마을] 구절골 북쪽 대청댐 호수가에 있는 마을로현재 20여 가구가 살고 있는데 경관이 아름답다. 방축골고개 방축골에서 구절골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범바위(호암)[바위] 방축골 서쪽에 있어 바위의 모양이 호랑이처럼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현재는 수몰되었다.
범바위구레[들] 범바위에 있는 들의 이름이다.
비각집[비] 집단 송공 유허비가 있던 비각을 말한다.
서당골[골] 꾀꼬리봉의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서낭터[터] 신촌에 있었는데 수몰되었다.
소타실[마을] 역마봉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이곳에송진사가 살았는데 그의 인심이 하도 좋아 지나가던 손님들이 많이 묵게 되었는데그들의 밥을 해주기 위해 쌀을 씻은 물이 항상 끊기지 않고 흘러서 구름다릿들까지 갔다고 한다.
신촌나루터 신촌 앞 호수가에 위치해배가 2척 있으며 이웃 마을로 다닐때 사용된다
신촌리 노적봉 아래에 있던 마을로 가구가 108호나되었는데 대청댐의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신촌리애항탑 신촌리 큰 도로변에 세워져 있어 오석으로잘 만들어진 탑인데 대청호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아름답다. 애향탑은신촌에 살다가 대청댐 건설로 신촌을 떠난 실향민들이 고향을 그리다가실향민들의 성금으로 1991년 6월 16일 건립하였다. 내용은 수몰지역민으로 실향의 아픔과 끌어오르는 애향의 열정이 새겨져 있다.
약수터[약수] 다멕섹기도원 동북쪽에 있는 산날망 아래에있는데 이 물로 옻과 각종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여수바위[바위] 방축골 뒷산에 있는 평평한 바위로 옛날에이 곳에 여우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 이라고 한다. 일설에 의하면 여우가 이바위에서 재주를 넘고 둔갑을 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고 하는데다른 이야기로는 일제시대 이 곳에 팔밭을 팔 때 이 바위에 여우가하도 많아서 불렀다고 한다.
역마봉[산] 구름다리 서쪽에 위치해 봉우리의 모양이달리는 역마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옻샘골[골] 옥새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장재골[골] 서당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중골[골] 구지나무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채봉골(최봉골)[골] 방축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사람이죽었을 때 채용했던 곳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청주전골[마을] 신촌의 원래 이름으로 신촌이 옛날에 청주목땅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큰골[골] 다멕섹기도원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텃골[골] 고용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토물 범바위 북쪽에 있는 마을로 큰 마을이지만우물이 귀하여 진흙 속을 파서 음료수를 길어 올렸다 하여 처음에는 토우물이라하다가 지금처럼 변했다. 숙종 때 석곡 송상민이 이곳에 살았다 하는데대청댐 담수로 수몰되었다.
팽나무거리 팽낭골에 있던 거리로 팽나무와 탑이 있었다고전해진다.
팽낭골 방축골 북쪽 끝단 호수와 접한 곳으로 팽낭골은거의 수몰되고 현재는 조금 남아 있다.
팽낭골탑 팽나무 거리에 있는 탑으로 팽나무 거리에있는 탑에서는 매년 음력 정원 14일 저녁에 동민들이 추렴하여 탑제를 지냈다고한다. 이 때 마을 사람들은 모두 모여 떡과 음식을 차려놓고 풍물을치며 동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였다고 한다.
황골재 신촌에서 충북 황골로넘어가는 고개로 옛날 옥천 사람들이 동면의 주원장터로 장을 보러다녔다고 한다.
효자정문터[터] 조선조 숙종때 효자 송상민의 효성을 기리기위해서 내려진 정문이 이곳에 있다가 대청댐 수물로 인해 마산동으로 옮겼다.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