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천동
위치
대전직할시 동구 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세천동과 비룡, 신상, 삼정지역의 경계에 있다. 세천동의 동쪽은 옥천군 군북면, 북동쪽은 행정관할지역인 신상, 서쪽은 비룡동과 접해 있어 대전에는 충북 옥천, 대전에는 보은군 회남면으로 갈 수 이쓴 접경지역이다. 또한식장산 북쪽에 위치하며 대전 상수도 저수지가 있던 지역이다.
유래
이 지역에는 세천동 식장산에서 발원한 주안천이 남에서 북으로 흘러 이와 관련있는 마을이 많다. 동네 가운데 잔 시내가 여럿 흘러 내린 ‘잔개울’, 골짜기가 좁고 내가 가늘게 흐른다 하는 ‘가는골’이 그것이다. 이중 ‘세천’은 잔개울에서 연유되어 가늘 세자와 내천자를 따서 세천이라 하였다.
연혁
백제때는 우술군, 신라 때는 비풍군,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했다. 조선후기에는 다시 회덕현, 조선말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동명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사리, 세곡리를 병합하여 세천리라 하고 대전군 동명에 편입하였다. 그 후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대전시의 직할시 승격에 따라 대덕군이 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명
가는골 | 쇠정골 서남쪽으로가는 골짜기에 있고 골짜기가 좁고 시내가 가늘게 하른다 하여 가는골이라 한다. 쇠정골, 가는골, 매전을 통들어 세곡으로 부르기도 한다. |
---|---|
개미두펀덩[평전] | 예지박골 남동쪽, 산날망에 있으며 불개미가 산날망에 많이 있어 개미두펀덩이라고 불렀다. |
국사봉[산] | 쇠정골 동쪽에 있으며 이 지명에 대한 유래는알 수 없지만, 옛날 한 충신이 날마다 이 산에서 서울쪽을 바라다 보며임금을 사모하였아고 하는 전설이 있다. |
꽃봉[산] | 쇠정골 동남쪽에 마을과 접해 있고 봄이되면참꽃이 많이 피어서 꽃봉이라고 부른다. |
대전상수도저수지[못] | 매전 마을 남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쳐있고 일제시대(1929)에 만들었다. 옛날에는 이 물로 대전시민의식수를 충당했으나, 현재는 식수로 사용치 않고 있다 |
덤바위[산] | 장개울 서쪽에 있다. |
매전(메전,매진이,산전)[마을] | 가는골 서남쪽 산 중턱에 위치한 마을로서, 수원지 부락이다. 이 마을이 매화낙지 형의 명당 자리에 있어 매화의 매자와 밭전 자를 따서 ‘매전’이라 하였고, 마을 가까이에 산전이 많아 뫼전에서메전으로 되었다. |
매전굴[터널] | 세천 서남쪽, 사격장과 매전 사이에 있는기차굴로서, 매전에 대전시 삼정동으로 통한다. 매전마을과 접해 있어 매전굴이라고하였고 1910년 완공되었으며, 전이터널이 행정상 명칭이다. |
머들령(마달령) | 세천 서쪽, 증약굴 위에 있으며 예부터고개가 대단히 험준하여 말도 겨우 넘을 수 있다 하여 말 마자에 통달할 달자를따서 마달령이라 하였다. |
모랭이말구리[모롱이] | 동사무소 북동쪽에 있으며, 세천 아래쪽에있는 작은 골짜기로 모퉁이를 돌아간다고 하여 우래되었다.무량사[사찰] 가는골에있다 |
배나무골[골] | 쇠정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서, 쇠정골을기준으루 배나무 펀덩 좌측의 작은 배나무고로가 우측의 큰배나무골이라고 부른다. 배나무펀덩 예지막골 북서쪽, 쇠정골동쪽에 있고, 배나무가 많이 있어 배나무펀덩이라고 하였다. |
불탄양디[골] | 잔개울 서남쪽, 사격장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현재는 새동네가 들어선 자리이다. 불이 잘 나는 양지쪽에 있다고 하여 불탄양디라고불렀다. |
복거리(북거리,신사리)[마을] | 상수도 저수지 남쪽, 옻샴 남동쪽에 있었고옛날에 북을 치며 불경을 외우던 미륵당에 있었던 북거리라 하고, 보 막은곳이라 하여 복거리라고 하였다. |
뿔당골[골] | 가는골 남쪽, 저수지동쪽에 있으며 옛날에 이곳에 불당이 있어 불당골이라 함 |
산소날[산] | 쇠정골 동북쪽에 마을과 접해 있고 소나무가많은 작은 봉에 산소(무덤)를 많이 써서 산소날이라고 부른다. |
새동네[마을] | 가는골 북쪽, 국도4호선(옥천길) 서쪽에있는 마을로서, 불탄양디 자리에 대청댐 수몰민들이 마을을 새로 형성하였다. |
새절골[마을] | 복거리와 윤판동 사이에 있고 절이 새로들어섰다고 하여 새절골이라고 하였다. |
새정골 | 잔개울 남쪽, 가는골 동쪽에 있으며 예전에금을 채취하던 금광이 있는 곳이어서 쇠종골이라 했으며 또는 산이 높아 마을이늘음달이어서 항시 얼어 붙었다 하여 쇠정골이라 하였다고 한다. |
샴골[골] | 배나무펀덩 북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로 이곳에 샘이 있어 샴골이라고 부른다. |
세천교[다리] | 잔개울(안뜸)과 바깥뜸 사이에 있다. |
세천역[행정] | 잔개울 남쪽, 세정골 북서쪽에 있으며, 매전굴과 증약굴 사이에 있다. 이는 1910년 세웠으며, 옛 동면지역사람들에게는 중요한 교통수단인 철도역이다. 그러나 도시가 벌전되고교통이 원활해짐에 따라, 대중교통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줄어 세천역도화물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
세천채석장 | 세천초등학교 동쪽, 세천역 북동쪽에 있다. |
세천파출소 | 잔개울 북쪽, 세천동사무소와 연접해 있다. |
소정이골 | 쇠정골 마을의 북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로서, 쇠정골 마을과 세천역 사이에 있다. |
씀뱅이골 | 세천에서 서쪽에 있는 덤바우 너머 비룡돌줄골쪽에 있고 골짜기에 씀바귀가 많이 나서 붙였다. 마을 아낙네들이 집일을피해 씀뱅이골로 나물을 캐러 가면 남편이나 가족이 찾으로 그곳에가곤 했다 한다. |
약바위[바위] | 세천저수지 남쪽 끝에 있고, 사람들이 몸이아플 때, 치성을 드리면 병이 낫는 약이 되는 바위라서 약바위라고 불렀다. |
영개바우 | 쇠정골 남쪽, 예주박골 외딴집 아래에 있고기생들이 이곳에 불공을 드리러 왔다가 이 바위에서 놀았다는 전설에서 여기(영기)바위가되었으며, 이것이 변하여 영개바우가 되었다. 6.25때 사람들이고곳에서 피란했으며, 요즈음도 바위 밑에서 불공을 드리기도 한다. |
예지박골(예주박골,외주박골)[골] | 당골 서쪽, 세천저수지 사이에 있다. |
옻샘(옻샴)[샘] | 세천수원지 남쪽에 있으며 옻 오른 사람들이마시면 옻 오른 것이 말끔이 나았다고 옻샴이라고 하였다. |
윤판동(평전) | 보거리 남쪽에 있고 버덩이 넓고 윤택하여윤판동이라고 하였다. |
잔개울(장개울,세천)[마을] | 세천역 북쪽에 있고 동네 가운데 잔 시내가여럿 흘러 ‘잔개울’이라 하고, 가늘 세자와 내천자를 따서 세천이라하였다. ‘잔개울>장개울‘에서 ’ㄴ>ㅇ‘은 연구개음화이다. 국도 4호선(옥천길)을 기준으로 서쪽마을이 원래의 장개울로 안뜸이라고불렀으며, 동쪽을 바깥뜸이라고 하였다. 현재는 동사무소 지역이나길 건너에 수몰민들이 이주하는 등 점차 마을이 커져가고 있다. |
장고개[고개] | 세천저수지 남동쪽에 있는 고개로서, 충북옥천군 군북면 자모실서 넘어오는 고개이다. |
장수골[골] | 수원지 남서쪽에 있으며 물을 많이 담아놓았다고 장수골이라고 하였다. |
장터골[골] | 장개울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증약굴가기전에 우측에 있다. |
주안내(주안천)[내] | 세천동 식장산에서 발원하여 세천저수지, 쇠정골, 잔개울을 지나 주안면, 내탑리를 거쳐 금강으로 들어가던내였으나, 현재는 세천에서 대청호로 유입된다. 물에 잠긴 주안면을지나가는 내여서‘주안내’라고 하였다. |
증약굴(세천굴)[굴] | 세천 동쪽에 위치한경부선 굴로서, 세천에서 충북 옥천군 증약으로 통하는 기차굴이다. 옥천군 세천 사이에 있어 중약굴, 세천굴이라고 부르며 지도상 명칭은세천터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