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대성동




tale-04-01-1.jpg


위치
중구 산내동의 최북쪽에 위치한 대성동은 동남으로 낭월동, 서남으로 대별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서쪽으로는 중구 옥계동과 구계를 이루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효동, 판암동과 이웃해 있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때는 공주부에 속했으며 조선초기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조선시대 말기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외남면의 지역으로서, 대성산 밑에 있다하여 대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함에 의하여 대성리라 하고 대전군 외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1935년 대전부 신설에 따라 외남면의 대부분이 대전부에 편입되어 외남면이 폐지되었으므로 대덕군 산내면에 편입되었다.



지명

감나무골[마을] 삼박골위쪽에 위치하고 옛부터 감나무가 많이 있다하여 붙여진이름이다
개심사[사찰] 윗대성에서 북서쪽에 있는 절이다.
고산들펀데기[평전] 고산사로 들어가는 입구에 위치해 있다.
귀득이[골] 깍대골 아래쪽에 있는 자그만 골짜기이다.
귓골[골] 아랫대성의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극락정토종[유적] 고산사 대웅전 앞에 있는 종으로 몸체에 비천문이 있으며 시주자명단이 새겨져 있다.
깍대골(각딧골)[골] 아래대성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취나대형의 명당이 있는 곳으로예부터 이곳 사람들은 깍대골로 바람이 불어와야 마을이 흥한다는 전설을믿고 있다.
닭재강변[내] 대성동과 낭월동 중간에 있는 강변이다.
대성골보답[들] 대성리 앞에 있는 들이다.
대성동[마을] 대성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대성동이라 부른다. 이곳은 상대성과하대성으로 구분되어 있다.
대성리 공동묘지[묘] 대성리 마을에서 깍대골 가는 길에 있다.
마른내[들] 대별교 못미처에 있는 들이다.
막동골[골] 식장산 아래에 있는 골짜기로 퉁적골 왼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비선골[골] 막동골 왼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비선골[골] 충첩골 위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 소년원이 있다. 비석이서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신선이 날아 올라간 골짜기라 하여그리 부른다.
삘기밭펀데기[들] 비선골 입구에 있는 곳으로 현재 청소년 감호소 자리에 위치해있다. 삘기가 많은 들판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대들[들] 대성동에 있는 들판이다.
수리바위[바위] 퉁적골 안에 있는 바위로 높이가 20길이 넘는다고 한다.
식장사[절] 고산사에서 식장산쪽으로 200미터 위에 있는 절이다.
심박골[골] 웃대성 윗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싸릿골[골] 비선골 위쪽에 있으며 싸리가 많이 있어서 사람들이 이 골짜기를다닐수가 없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싸리를 베어다가 빗자루로 만들어 팔았다고한다. 싸리가 많았던 골짜기라 하여 싸리골이라 한다고 전해진다.
아래대성(하대성) 대성동의 아래쪽에 자리한 마을 이름이다.
영미바위[바위] 식장산 고산사 아래에 있으며 바위속에 큰 굴이 있고 그 아래절이 있다.
옻샘[샘] 깍대골 중간에 있는 샘으로 옻이 오른 사람이 목욕을 하면 낫는다고한다
영미바위[바위] 식장산 고산사 아래에 있으며 바위속에 큰 굴이 있고 그 아래절이 있다.
옻샘[샘] 깍대골 중간에 있는 샘으로 옻이 오른 사람이 목욕을 하면 낫는다고한다.
용바위(용암)[바위] 고산사 위에 있으며 바위 밑에 샘이 있고 옛날에 이 샘에서 승천을기다리는 이무기가 살다가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했다고 하여 마을 사람들이이를 바위라 부른며 날이 가물면 여기서 기우제를 지낸다고 한다.
용샘[샘] 고산사 위에 있는 샘으로 수량이 풍부하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지내는 곳이다.
용암산
(망경대, 대성산)[산]
세천동에뻗은 날로 걸쳐 있다. 산위에 용바위가 있다하여 용암산이라 불렀으며, 이 산 꼭대기에서서울쪽을 보면 한밭이 바라다 보인다 하여 망경대라 부른다고 한다. 또는 마을 뒷산에 고산사가있어 예부터 이 절의 부처님께 자기의 소원을 빌면서 기도를 드리면 누구나 그 뜻을 꼭이룬다는 전설에 따라 대성산이라 유래되었다고 한다. 산의 높이는 598미터이다.
웃대성(상대성) 대성동의 위쪽에 위치한 마을 이름이다.
작은귓골[골] 아랫대성 북동쪽에 있는 귓골이란 골짜기의 아랫부분을 말한다.
장군바위[바위] 고산사 남쪽에 있는 커다란 바위이다.
정성고개[고개] 고산사 남쪽에 있는 커다란 바위이다.
찬샘물[샘] 대성리 마을 노인회관 뒤편에 있는 샘이다.
찬샘물[샘] 대성리 마을 노인회관 뒤편에 있는 샘이다.
충접골[골] 각동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큰귀골[골] 아랫대성 북동쪽에 있는 귓골이란 골짜기의 윗부분을 말한다.
퉁적골[골] 옛날 이곳에 묻혀 살던 선비들이 이 속에 있는 연못에 비친 달을보며 그들 스스로를 달래며 퉁소를 불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유적

고산사, 고산사 대웅전, 식장산 토성


사진자료 (고산사 대웅전)

m07-02.jpg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