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양동
![]() |
위치
가양1동은 동으로는 가양2동.자양동, 서로는 성남동.삼성1동, 남으로는 자양동.용운동, 북으로는 용전동과 연접해 있다.
유래
굉잇들 가에 괭이, 갱이라는 마을이 있어 가양동이라 하였다. 또는 햇볕이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이 따뜻하다하여 가양(加陽)이라 불렸다가 후에 가양(佳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연혁
백제때는 우술군,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뒤에 공주부에 속했다. 조선시대 태종 13년(1413)엔 다시 회덕현 외남면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말 고종 때에는 회덕군 외남면에 속해서 괭잇들 가에 있으므로 괭이 또는 가양이라 불렀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매봉리, 원리, 탁곤리와, 내남면의 송촌 일부를 병합하여 갱이의 이름을 따서 가양리라 하여 대전군 외남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1월 대전부 가양정이라 하다가, 1946년 해방과 더불어 왜식 동명 변경에 따라 가양동이라 고치고 대전시 동구에 속하게 되었다.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동구 가양동이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가양1동과 가양2동의 행정동이 하나의 법정동인 가양동을 관할하고 있다.
지명
갱이공원[공원] | 대성여자중고등학교 북동쪽, 대성여자중교와 신촌교 사이에 있다. |
---|---|
괭이(갱이)[마을] | 매봉 남쪽, 흡내 동남쪽에 있던 마을로서, 지금의 가양국민학교와대성여자중고등학교 사이 부근이며 숲이 우거진 괭이들 가운데 마을이 있어 괭이라고하였다. |
매봉[마을] | 갱이 북쪽이며 흡내 동쪽에 자리했던 마을로서, 지금의 가양시장부근이며 마을 뒷산이 매의 형상을 띠고 있어 매봉이라고 불렀다. 또 삼매당기에보면 매봉으로 쓰여져 매화로 해석하였다. |
물빠대[들] | 외흥룡 서쪽에 있던 들로서, 지금의 신도빌딩 부근에 있었고 물이잘 빠지는 곳에 있어 물빠대라고 하였다.‘물빠대’에서‘물빠’는 고유어이며,‘대’는 한자어로 집터 대(垈)이다. |
시거리[들] | 매봉 남쪽, 지금의 국민은행(가양동지점)부근에 있었다. |
신촌교[다리] | 가양초등학교 남동쪽, 가양천 위에 놓여 있다. |
홉내(흡내, 합내)[마을] | 매봉마을 근처에 있던 마을로서, 지금의 가양초등학교 서쪽 부근이며가양천과 대동천 두 개울이 합치는 곳에 마을이 있어서, 합할 합(合)자에우리말 내를 따서 합내라고 하였다. 이것이 변하여 흡내 혹은 홉내라고 하였다 |
토속
갱이마을의 장승
갱이마을에는 화강 편마암으로 된 장승1기가 현대아파트 북쪽 삼거리에 서 있다. 애당초 장승이 세워졌던 곳은 마을엣서 조금 떨어진 동네어귀의 논이었으나 이 곳에 집이 들어서면서 1980년 현 위치로 옮겨졌다. 옛날 마을에 질병과 우환이 잦아 이를 막기 위해 재앙이 들어오는 길목에 세웠다는 이 장승의 제작연대는 알 수 없지만 마을이 생기면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장승돌은 거북바위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