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
위치
법정동인 오동은 동쪽에서 동남으로는 주촌동과 접해 있고 서쪽에서 남쪽으로는 대청호에 접해 있다. 그리고 북쪽으로는 충북 보은군과 시계를 이룬다.
유래
이 지역은 풍수설에 오동반월의 형국의 터라 하여 오동이라 붙여진 곳이다. 또는 마을 아래에 오동나무가 많다고 하여 오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연혁
백제 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 후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 조선 시대 말기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주안면의 지역으로 본래 머기고개 아래에 있다 하여 오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상창리, 하창리, 주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오동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대청동이고 오동의 서남부는 대청호에 수몰되었다.
지명
가호나루[나루] | 오동 쇠똥말 앞에 있는 나루로 충북 청원군문의면 가호로 넘어간다. |
---|---|
강당[고택] | 오동 움매마을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
개남개[들] | 안골 서쪽에 있는 들의 이름이다. |
개티[고개] | 안골 동북쪽에 있는 고개로 국사보 남동쪽에있다. 옛날에는 회덕과 충국 회인으로 가는 유일한고개였다고 한다. |
곰저리[들] | 개낭개 남쪽에 있는 들 이름이다. |
국사봉[산] | 오동의 주산이며 높이가 320미터인데 충남북을가르는 경계가 되고 있다. |
국사봉서낭당 | 국사봉 정상에 있으며 두아름이 넘는 상수리나무한 그루를 산신목으로 정해놓고 동리의 안녕과 각 가정의 안과태평을위해서 매년 음역 1월 14일에 산신제를 올린다. |
국사절재산제당 | 국사봉 절제에 있으며 큰 참나무 아래에단을 쌓았는데, 그릇 등이 있다. 산신제는 중단된 상태이다. |
굴밤나무[나무] | 이 나무의 열매로 묵을 만들었다고 하며나무의 둘레는 장정 다섯이 팔을 벌려안을수 있었다고 한다. 현제는 벼락을 맞아본래 나무는 죽었으나 그곳에서 새순이 돋아 자라고 있다고 한다 |
궤티고개[고개] | 옛날 현재의 도로가 나기 전 회인에서 대전으로넘어오던 고개이름이다. |
깃대봉[산] | 오동에서 충북 보은군회남면 버수 뒤에 있는 산이며 세부 측량 때 측량 꽃았으므로 깃대봉이라 한다. |
남혈[산] | 움메 남쪽에 산으로 그 생김새가 남자의성기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늘들[들] | 곰저리 남쪽에 있는 들 이름이다. |
늘미모퉁이 | 안골마을에서 내탑 가는 길 중간에 있는모퉁이로 대청댐의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
당앞고개[고개] | 안골에서 당앞날을 넘어 충북 회남으로 넘어가던고개로 일설에 의하면 옛날 안골에는 주안국이라는 국가가 있었는데 어느장수가 군사 30명을 이끌고 당앞고개를 넘어 충북 회남(?)땅에있는 용머리국을 쳤다고 한다. |
당앞날[마루] | 당앞고개가 있는 충남북 경계을 가르는 능선으로움메마을 서쪽에있는 날가지 당앞둥구나무 수몰된 오동에 있던 느티나무로 둘레 10미터의큰 고목이었는데 그 나무를 베면 3칸집 한 채를 지을 수 있었다고 한다. |
머개[골] | 할미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먹먹당[골] | 머개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무덤날[마루] | 움메 마을 남쪽 산날가지이다. |
물레방아터[터] | 수몰된 오동2구 창촌에 위치한 물레방아가있던 곳이다. |
부숫골[골] | 가호나루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북수골[골] | 오동마을 북서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늑대가많이 나타났다고 한다. |
산제탑[탑] | 움메골에 있고 산제를 지내기 위하여 마을에서구입한 논밭으로 400평 정도가 현재 움메골에 있다. |
삽재[고개] | 오동에서 배말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
쇠똥말[마을] | 창말의 북서쪽에 있었고 옛날에 소를 기르던곳으로 소똥이 많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옛날 큰 물이 졌을때 주변이 다 물에 잠기고 그 자리만 쇠똥만큼 남았었다고 하여 붙여진이름이다. 대청댐의 담수로 수몰되었다. |
세구발[들] | 안골 동구 밖 장승백이가 있는 밭으로 약 1500평 정도 되는 세모로 된 밭을 말한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
소골고개[고개] | 안골에서 내탑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
송장바위[바위] | 송장거리에 있는 바위로 옛날 어느 사람이송장을 지고 가다가 쉬었다고 해서 부른 이름이다. 현재는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수몰되었다. |
아래법수[마을] | 오동 쇠똥말 북동쪽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충북 보은군 회남면 법수리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아래법수, 하법수라고 부른다. |
아래창말[마을] | 당앞 날 아래쪽에 있는 곳이다. |
안골[마을] | 오동의 원래 마을로 산 안쪽에 있다고 해서붙여진 이름으로 이 마을은 지금부터 (원오동, 내동) 370여년 전 광산 김씨의 두 형제가이곳에 정착하면서 번성해진 마을이다. 이 곳은 비룡상천형의 형태라하는데 산의 안쪽에 마을이 있다 하여 안골, 내동이라 부른다. 대청댐의수몰로 인해 물에 잠긴 쇠똥말, 아래법수, 창말 주민 중 일부가이곳에 이주하여 살고 있다. |
우괴티[골] | 황구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오목개곡[골] | 아래법수 서쪼게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우물이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음혈[산] | 움매 북쪽에 위치하며그 생김새가 여자의 성기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일설에 의하면 경주김씨의 산으로 지관이음혈 앞에 축대를 쌓아야 집안이 무고하다 하여 그의 말대로 축대를쌓았다가 경주 김씨 집안 장정들 여러명이 죽었다고 한다. 얼마후다시 유명한 지관을 불러 물어보니 남혈에서 나오는 기를 음혈 앞에있는 축대로 막아서 화를 당하였다고 한다. |
절너머골[골] | 절제날망 아래 있는 골짜기이다. |
절재(사재) | 오동마을 동쪽에 있는 제일 큰 봉우리이다. |
참깨울[마을] | 안골 북동쪽에 있던 마을이다. |
창말(창촌)[마을] | 오동에 있던 마을로 나라의 곡식을 저장해두는 창고인 사창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오동에서 가장 큰 마을이며 매년 1월15일에 거리제를 지낸다. 현재는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
태봉골[골] | 오동마을 두에 위치해 있으며 옛날 태를묻었던 골짜기라 붙여진 이름 |
태봉바위[바위] | 태봉아래 위치한 바위로 태를 넣는 바이가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태봉산[산] | 마을의 동쪽에 위치하며 옛날에 왕의 태를묻었던 산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 |
팽나무거리 | 당앞날 밑에 있는 거리로 현재는 대청댐담수로 인하여 수몰되었다. |
회덕황씨법수파제단 [제단] | 1983년 9월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는오동리에서 충북으로 넘어가는 길가의 좌측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