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신하동


위치

법정동인 신하동은 동쪽으로 충북 옥천군과 시계를 이루며 서쪽에서 서북쪽으로 대청호에 접해 있다. 그리고 남으로는 신상동, 북으로는 신촌동과 접해 있다.

유래

새로 생긴 마을의 아래쪽에 위치했다고 해서 생긴 이름으로 새들의 아래쪽에 있다는 마을이기도 하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말기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동면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평리, 소하리, 장대리, 신촌, 묘동을 병합해서 신하리로 이름을 붙여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그 후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신하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대청동이다. 신하동 서북쪽은 대청호에 수몰되었다.


지명


개구리봉[산] 비금 서남쪽에 있는 물위에 뜬 작은 봉우리이다.
골말[마을] 절골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절골 태봉산 북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큰 절이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지나가던 중이 마을 사람들에게 이 곳에 절을 짓고부처님을 정성으로 모시면 마을이 흥하게 되고 잘살게 된다는 말을하여 이곳 사람들이 이 곳에 큰 절을 만들어 그 중에서 부처님을모시게 했다는데서 생긴 이름이라 한다.
놀이터 신절골 동쪽 길 건너에 있는 어린이놀이터로시이소, 그네 등이 있다.
도성원 골안에 있는 사찰 이름이다.
동산고개 주원장터 옆 동상수몰지에서 비금으로 올라가던고개, 사러리 동쪽 양지바른 곳에 있는데 고개와 마을을 통칭해서 부르는말로 보통 동산티라 부르기도 한다.
묘곡[산] 산봉우리가 묘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묫골 작은 태봉 왼쪽에 있는 마을로 동네 뒤의삼태산이 묘하게 생겼다 하여 붙여진 마을이름이다 묫골이라 부르다가 욧골로 변하여현재에는 묘동이라 부른다.
방축골[마을] 구절골에서 골말쪽으루 가는 고개넘어 동네이다.
배골[골] 태봉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백골산[산] 신하동과 신상동의 경계이며 백제와 신라가싸웠을 때 사람이 많이 죽어 백골이 많이 묻혀 있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뱀날[산] 삼태봉 아래에 있는 커다란 산을 말하는데산의 형세가 마치 뱀이 아래로 내려오는 모양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뱃나루[나루] 비금 서쪽에 있는 뱃나루이다.
봉계내 백골산에서 나와 봉계로 흘러가는 냇물의이름이다.
분투골[골] 큰태봉 아래 있는 골짜기이다.
불두골[골] 묘골에서 비금으로 넘는 골짜기이다.
불무골고개 비얌날아래 골짜기이다.
비금[마을] 바깥아감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사러리와토끼봉들 쪽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다. 새가 나는 형상을 닮았다고 해서 비금이라고하는데 전해오는 풍수설에 의하면 이곳에 비금탁조의 터라 하여 붙여진이름이라고도 한다. 이 마을은 10여 호의 집이 있다.
비금애향탑[탑] 비금마을 입구 큰도로변에 건립되어 있는탑으로 1992년 10월 4일 신하동 주민일동이 건립하였다. 내용은 비금마을의유래와 대청댐 건립으로 인한 실향의 아픔을 담고 있으며 하단에 애향시도적혀 있다.
비암날망[마루] 큰태봉과 작은 태봉의 사이에 있는 날등이다.
사러리 동산고개 서쪽에 있던 마을로 한 선비가이 마을에 자리를 잡고 마을 사람들에게 생각은 신중하게 하고 말을 더듬는 것처럼어눌하게 하라고 일렀다고 해서 처음에는 사눌이라 하였다가 뒤에 사러리라불렀다고 한다. 즉 살아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하기도 하며, 마을의뒷산이 이리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한편, 옛날에마을의 뒷산에 이리가 많았던 산이리라 부르다가 사러리로 바뀐것이라고도한다. 현재에는 수몰되어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사창이[마을] 골과 방축골 사이에 있는 동네이다.
삼태봉[산] 비금마을 뒷산에 위치한 세 개의 봉우리이다. 산봉우리 셋이 수려한 모습으로 삼태성처럼 솟았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새말[산] 사러리 윗편 큰태병골과 불모골 사이에 있는야산 이름이다.
서당골[골] 배골의 북동쪽에 있고 옛날에 서당이 있었던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소정이(소정) 동산고개 북쪽에 위치, 소나무 정자가 있는작은 마을이다. 또는 동네의 형국이 작은 솔같아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소정이라고도했다.
신절골[마을] 옛 안밭들에 있는 마을로 1980년 대청댐건설로 수몰되어 수몰민들이 이사하여 새로 생긴 마을이다.
신절골낚시터 신절골 앞 수몰 전낚시를 하던 곳이다.
안마뜰[들] 신절골 서쪽에 있는 들판이다.
안밭뜰[마을] 수몰되기 전 주원장터에서 이사온 사람들이모여 사는 곳이다.
안산[산] 작은 태봉 앞에 있는 산이다.
여수굴[굴] 태봉날 왼쪽 깊은 골짜기 안에 있는 커다란굴이다.
옻샘[샘] 큰태봉 아래 있는 샘이름이다.
윗골[골] 백골산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은개[마을] 사러리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 은빛이 나는들 가운데에 개울이 흐른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작은태봉[산] 큰태봉 왼쪽에 있는 두 번째 봉우리이다.
장골[골] 비금 동남쪽에 200여년 된 향나무가 있는곳으로 옛날 사당패가 있던 자리라고 한다.
장터 비금 북소쪽에 있는 수몰된 옛장터로 옛날에이 곳에 장이 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하동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는데현재에는 수몰되었다. 근처의 흙이 붉은색인 것이 특징이라 한다. 또한 동면사무소, 동명국민학교, 동면지서, 동면농협 및 창고터, 동면우체국터 등이 모두 이 장터 주변에 있었다.
절골[마을] 신절골 북동쪽의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이곳의지형은 중이 배낭을 지고 가는 형국 이라고 하는데 신라때 어느 스님이 말하기를이곳은 불문 고을 터이니 절을 짓고 부처님을 모시면 마을이 융성할것이다 하여 큰 절이 덜어섰는데 그 후 절이 없어졌지만, 동네가생기면서 그 골짜기의 이름을 따서 절골이라 했다고 한다. 그러나신절골은 비금에 새로 생겼다.
질터[터] 백골산 북동쪽에 절이 있던 터이다.
참나무메기[골] 태봉골 근처에 있는데 참나무가 많이 있어서붙여진 이름으로 참나무 숯을 구었다고 한다.
창골날망[마루] 작은태봉 앞에 있는 작은 날망이다.
채봉골[골] 비금 동북쪽산에 위치해 사람이 죽으면 채봉하던곳(시체를 나무위에 올려 놓고 뼈만 남으면 추려다가 장사 지내는곳)이다.
청적골[골] 절골 곂에 있는 골짜기로 절터가 남아 있다.
큰태봉[산] 비금 동쪽에 있는 제일 큰 봉우리이다.
태봉골[골] 태봉산 서쪽과 비금마을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태봉산[산] 묘동 동쪽에 있는 큰 산으로 옛날에 왕의태를 묻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수가 빼어나서 경치가 아주 아름답다.
토끼봉들[들] 신상리에 있는 토끼봉의 동쪽에 위치한 들의이름이다.
포항[못] 신절골 앞 수몰지역으로 농사를 짓는데 쓰던물둠벙이다.
한식말[마을] 절골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m22-01.jpg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