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

소호동


위치

소호동은 대별동에서 비파산의 지푸재를 넘어 남쪽에 있는 쌍바우산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동북에서 동남으로는 구도동, 삼괴동돠 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장척동과 접해 있다. 그리고 남에서 남서쪽으로는 상소동, 장척동과 경계을 이루고, 북서쪽으로 이사동과 이웃해 있다.

유래

이 곳은 산세가 순한데다 전답이 기름져서 오곡이 풍족하고 땔나무마져 흔해서 옛날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마을이라 하여 소호리라 불렀던 것인데 그 뒤 음이 축약, 변형되어 소리, 소올 또는 소홀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연혁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가 현종 9년(1018)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느 회덕현에 속했다. 이 지역은 본래 공주군 산내면의 지역으로서,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개정에 의해 회덕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적구역폐합에 의하여 신오나전리를 병합하여소호리라 하여 대전(대덕)군 산내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에 따라 대덕군에 편입되고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에 따라 대전직할시에 속하게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소호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산내동이고 은진 송씨의 집성부락이 있다.


지명


각골[골] 소호 2구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강바위산[산] 소호동과 구도동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거미허리[산] 대끈 옆에 있는 산등성이로 개미허리 무덤에서자손이 절을 하면 거미줄에 걸려 죽는다고 하여 또랑에서 절을 하였다고한다.
고모재[고개] 토호골 북쪽에 있는 고개이름이다.
구드매날망[산] 소호마을에서 구도리로 가는 산등성이이다.
금옥골[골] 알미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금옥이[골] 소호동에서 알미 들어가기 바로 전 서쪽에있는 골짜기이다.
꼭지마리골[골] 알미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꽃재날[산] 소호 1구 동쪽에 있는 산이다.
난산[마을] 난산 아래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 마을 뒷산의형세가 마치 알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당기묵골[골] 푯대날망 서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대끈[능선] 거미허리 옆에 있는 등성이로 이곳에 무덤을쓰면 대가 끊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신빙성은 없다.
동네마당[동산] 완전리 큰골 옆에 있는 조그만 놀이동산이다.
두리봉[산] 산완전에서 북쪽에 있는 산봉우리이다.
매봉재[골] 소호2구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먹뱅이골[골] 큰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묵능골[골] 터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범바위[골] 소호마을 동쪽 산 날망에 있는 골짜기이다.
불당터[골] 소호마을 당기묵골 서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불당터고[골] 소리와 아랫소리의 가운데에 있는 골짜기이다.
불소시게말[능선] 불당터 서편에 있는 등성이이다.
비파골[골] 소리 왼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비파티(지푸재) 비파산서이 있는 고개로 소울의 북쪽 대별동으로넘어가는 길목으로 이 산에 기암 절벽이 있어 마치 비파줄을 당기고있는 형국이라 하여 비파티라고 불리우던 것이 발음이 그 뒤에 와전되어지푸재로 부르고 있다는 설과 비파산이 우뚝하여 그 곳의 허리에 난재가 깊은 골짜기를 통하여 나있기 때문에 지푸재라고 부르게 되었다는설도 함께 전한다.
사라니재[고개] 신완전에서 시라니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살미기[골] 금옥이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살미기고개 살미기에서 구도동으로 가는 고개이다.
삼바골[고개] 죽낭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삼바골산[산] 알미 서북편에 있는 산이다.
새뜸[마을] 중골 마을 앞에 있는 마을이다.
새완전(신완전) 속울의 남서쪽에 위치한다.
샘골[골] 불당터골 서쪽의 골짜기이다.
서당뒤[골] 은행나무날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성뚝[터] 숫골 안쪽에 있는 옛성터이다
소리[마을] 알미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산 안쪽에마을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솔미[모롱이] 알미에서 소호1구로 돌아오는 모퉁이이다.
쇠골[산] 살미기 북쪽에 있는 산이다.
수굴[골] 완전리 동편 골짜기이다.
수리램이[골] 고모재 서쪽에 있는 골짜기 이름이다.
수리램이[고개] 수리램이 위에 있는 고개로 소호2구에서금산군 진산으로 가는 고개이다.
숙글재[고개] 소호마을 북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숫고개[고개] 신완전에서 장척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며 숯을굽던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
신완전[마을] 소호2구의 다른 이르으로 전쟁이나 전란에안전하였다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
아래소홀[들] 알미로 들어오는 입구에 있는 들이다.
아랫소리[마을] 소리의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안산[산] 신완전 앞에 있는 산이다.
알뫼(알미, 난산) 소호동의 동남쪽에 우치하며 마을 뒷산의형세가 마치 알을 닮고 있는 것 같다하여 붙여진 산 이름이다. 또는 옛날 어느이름난 풍수 하나가 이 곳을 지나다가 산세르 훑어보고는 ?저 산은마치도 닭이 알을 품고 있느 형국의 명당이 있는 산이라고 말하였다고전하여 이 산을 알뫼 또는 난산이라 했다.
알미골[골짜기] 소호마을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알미성황당터 알미교 옆에 있는 성황당터이다.
어청골[골] 마을 주위에 소나무가 하도 많아서 마을전체가 늘 푸른 빛이 감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또는 조선초말기에 각 처에서 모여든 선비들이 수학한 곳이라 하여 속칭 어청골로도불리우고 있다.
얼거리[골] 소호동에서 금옥이 오기전에 있는 골짜기이다.
은행나물날[산] 소호마을 동쪽 큰 은행나무가 있는 산등성이이다.
응골[골] 턱골 넘어에 있는 골짜기이다.
작은구드매날망 구드매 날망 남동쪽에 있는 작은 날망이다.
작은새골[골] 제피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큰새골 보다작은 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이름
제피골[골] 불소시게말 서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죽날[산] 소호마을 알미 남쪽에 있는 날등이다.
즘디[골] 꽃재날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채봉골 지프재 서쪽 산 아래 왼편으로 있는 골짜기로덕다리골짜기라고도 하며 사람이 (덕다리골짜기) 죽으면 나무 위에 시체를 올려 놓아 살이다 썩고 뼈만 남으면 그 뼈르 간추려 장사를 지내던 풍습이 있었다고하는데 이러한 풍습을 행하던 장소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청룡뿌랭이[산] 수리램이 서쪽에 있는 산이며 해방 후에도호랑이가 출몰하였다고 한다.
큰골[골] 홈달이들 동북쪽의 큰 골자기와 마을을 통칭하여부르는 말이다.
큰새골[골] 작은 새골 서쪽에 있느 큰 골짜기이다.
큰웃골[골] 금옥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터골[골] 중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턱골[마을] 숫고개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토호골[마을] 소호1구에서 소호2구로 가는 서쪽에 있는마을이다.
평풍바위[바위] 작은 날망이 있는 쪽에 있는 산으고 깃대가산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
홈달이들[들] 금옥골 오른쪽에 있는 들의 이름이다.

SITE MAP

동구역사문화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