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동
위치
법정동인 사성동은 동쪽으로 충북 옥천군과 시계를 서쪽으로는 대청호, 그리고 남쪽으로는 신촌동과 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내탑동과 경계를 이룬다.
유래
뒷산이 불모지인 순모래로 성처럼 솟아 있는 산 아래에 자리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일반적으로 모래재라 부른다.
연혁
본래 회덕군 주안면의 지역으로서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속했으며,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에 속하였다. 고려초기에는 회덕현에 속했으며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회덕현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으며 그 후 1935년 11월 1일 대전부가 신설됨에 따라 대덕군에 속하게 되었다.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동구 사성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대청동이고 사성동의 서쪽은 대청호 조성에 따라 일부지역이 수몰되었다.
지명
개불알바위 | 모래재에 있던 바위로그 모양이 개불알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두개의 바위가 있었는데 현재는 수몰되었다. |
---|---|
거먹바위[바위] | 골말 동편 산봉우리에 있던 바위로 색깔이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골말[마을] | 현재 사성마을이 있는 마을로 사성이라고부르는 것은 사성이 수몰되고 없기 때문에 부르게 된 이름이다. |
공동묘지[묘] | 사성 앞산에 위치하고 있다. |
공적비[비] | 솔밭마을 큰 도로변에 있는 두 개의 공적비로본래 내탑초등학교 발전에 공이 큰 정두현 교장과 최기중 장학사의 공적비로내탑국민학교에 있던 것이 1980년 동명국민학교로 이건되었다가 1988년 12월 이곳으로 옮겨진 것이다. |
금생골[골] | 솔밭마을 뒤 골짜기이다. |
금생골샘[샘] | 금생골에 있었던 샘으로 물이 너무 차서여름철에는 마을 사람들이 국수를 말아먹을 때 이 샘물을 떠다가 국수를 말았다고한다. |
기차바위[바위] | 물미 남쪽과 장국바위 동쪽에 있는 바위로바위들이 기차처럼 여러개 죽 늘어져 있어서 그 모습이 흡사 기차모양과 비슷하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김종학공적비[비] | 뒷골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비석은동면 발전을 위하여 많은 토지를 기부한 김종학 씨의 고적을 기리기 위하여면민들의 성금으로 병자년 12월에 건립한 것이다. 이 비석은 본래청룡끝 마을 도로변에 있던 것을 대청댐 담수로 인하여 뒷골 김해김씨 종산이 있는 도로변으로 옮긴 것이다. |
꾀꼬리봉[산] | 두리봉 서쪽에 있는 225m의 산으로 사성동과충북 옥천군 군북면의 경계에 있다. 옛날 천지가 개벽할 적에 이 산의저상이 꾀꼬리만치 물위에 남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대실고개[고개] | 신촌에서 사성으로 넘어가는 옛길에 있는고개이다. |
덜미기[마을] | 질마고개 남쪽에 있는 마을로 경수마을 서쪽에위치하며 대청댐의 담수로 수몰 |
두리봉[산] | 꾀꼬리봉 동쪽에 위치하고 이쓴데 꾀꼬리봉보다더 높고, 산 정상에는 지도의 기점 표지판이 박혀 있다 동구나무거리 꾀꼬리봉과 두리봉 중간에 있으며 350여년이되는 느티나무가 있어서 나무꾼들이 나무를 하여 오다가 쉬던 곳이다. 이나무는 대덕군에서 군나무로 지정하는 한편 보호수로 지정했었다고 한다. |
뒷골고개[고개] | 신촌과 사성의 경계선에 있는 고개이다. |
맹골[골] | 신촌과 사성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
맹골고개[고개] | 맹골에서 사성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
모래재(사성동) | 사성동의 중심이 되는 마을로 옛날부터 모래가많이 나는 곳이라 그 이름을 따서 모래재 혹은 사성동이라 부른다. 지금은마을의 뒷산이 거의 다 모래로 되어 있고 모래재는 다른 말로 주안모래재라고도 했다. 또한 130여 가구가 살던 사성마을을 말하는데대청댐의 담수로 수몰되었다. |
물뫼산(물미산)[산] | 덜미기 서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179m인데이곳에는 유난히 바위가 많다고 한다. 대청댐 담수 이후 산이 물에잠겨 봉우리만 수면위로 나와 있다. |
바금날(골) | 골말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
바위집(바위) | 샘건너산에 있으며 바위가 마치 집처럼되어 있다고 해서 부르게 된 이름이다. |
배남골[골] | 꾀꼬리봉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
뱀밭[들] | 현재의 사성 승강장에는 골말 동네로 올라가는길 옆에 있는 밭이다. |
불당골[골] | 숲바탕 북쪽, 경수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름이다. |
붕나무골[골] | 꾀꼬리봉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붕나무(개옻나무)가많기 때문에 불려진 이름이라고 한다. |
산제당[제당] | 붕나무골 중턱에 위치해 있고, 제당과 조송과팽나무가 있다. 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 이튿날에 지내는데 동민들의 추렴으로이루어진다. |
건너산[산] | 사성 북쪽에 위치한 산으로 호수가에 위치해있다. |
서낭당[제당] | 배남골 밑에 위치해 있고 큰 도리캐 나무와노송이 남아 있다. |
성터[터] | 어두니 뒷산 충북과 경계선상에 있고 성은막돌로 쌓았는데 현재는 무너진 채 방치되어 있다. 일설로는 백제군이 신라군과대치했던 국경선에 있던 성이었다고 한다. |
솔바탕(솔밭마을)[마을] | 사성마을 북쪽에 위치함 마을로 옛날 소나무가많았다고 한데서 유래한 것이다. |
송림고개[고개] | 사성에서 충청북도 새거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
송림이[골] | 두리봉 아래에 위치한 곳인데 충남북의경계선이 된다. |
숯바탕[마루] | 금생골 동쪽 산날가지를 말하는데 옛날 숯을굽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아랫모래재 | 윗모래재 아래에 있는 마을로 원 모래재를말한다. |
안골평지[평전] | 송림고개 아래에 있는 평지로 옛날 집터가남아 있다. |
어두니(어둔이) | 꾀꼬리봉 북쪽에 있는 골짜기 이름으로 꾀꼬리봉이남쪽을 막고 있기 때문에 항상 어둡고 그늘로만 있어서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 한다. 어두커니절터 어두니 골자기 거먹바위 아래에 위치하고있고 옛날 큰 절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기왓장 파편이 나오고 있다. |
왜놈죽인굴멍[골] | 물뫼산 동북간에 있는 골짜기로 8.15 해방후 일진회 회원이 왜놈을 죽이고 화장을 했다고 해서 유래한 이름이다. |